인지 훈련과 행동치료
본문 바로가기

인지 훈련과 행동치료

by 브레이니 소온 2023. 2. 2.
반응형

통증 치료의 두 범주

의료적 개입과 비의료적 개입으로 볼 때  의료적 개입은 약물 치료, 수술, 물리치료 등 • 비의료적 개입: 인지행동치료, 최면, 바이오피드백 등 두 범주간 경계가 약해진다. 위약 효과 등은 신체의 무통각증 체계를 동원하여 작용한다는 증거 • 심리적 기법이 통증환자에게 효과 있다는 증거이다. 물리적, 비물리적 통증 치료법 사이에 경계가 모호해진다.

통증 치료 방법은 의료적, 비의료적 개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약물과 물리치료

진통제 – 환자 대부분에게 통증 억제의 주축을 담당 약물과 물리치료에서 오이오피드 약물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함 (예: 모르핀) • 비오이오피드 약물: 말초신경계에 작용 (예: 상처부위에 바르는 소염제등)하고 비오이오피드 진통제 • 종류: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라고도 불린다. 염증 감소, 진정제 없이 통증 감소, 열이 있을 때 체온 감소 효과를 보인다. 조직 손상 시 유발되는 화학적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다양한 비오이오피드 진통제 유형

오이오피드 진통제 약물과 물리치료에서 통증 신호의 강도, 통증에 대한 뇌 반응을 줄이기 위해 척수, 뇌의 특정 수용체에 작용하는 흥분성 약물이 있다. 대표적 종류은 모르핀, 베타-엔도르핀 • PAG, 시상, 척수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무통각증, 통각무반응증, 편안한 행복감의 상태, 불안 감소, 평온감을 만들어 낸다. 단점은 장기간 복용하다 중지하면 통각자극에 대한 민감성 증가한다.

수술, 전기자극, 물리치료 수술

약물과 물리치료는 신경계의 뛰어난 재생 능력 때문에 단지 짧은 통증완화 효과만 제공된 최근에는 통증 억제를 위한 수술은 거의 사용되지 않음 전기자극법 • 신체의 한 부위에서 통증 완화를 위해 다른 곳을 자극하는 기법으로 수술 보다 더 효과적이다. 척수자극법은 하부요통 환자들에게 통증 억제 효과가 검증된다.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ENS)는 통증감각을 압도하는 무감각을 만들어내며, 일부 만성통증의 완화에 효과적이다. 자극유도 무통증(SPA)은 뇌 속에 전기탐침을 심어 엔도르핀 뉴런에 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 매우 효과적이다. 물리치료 • 통증 확인, 교정, 예방 등의 노력을 통해 재활 치료를 수행한다.

인지행동치료의 개요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 인지적, 물리적, 정서적 개입들을 결합한 다학제적 통증관리 프로그램이다. 환자 스스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이다. 사고와 행동 변화를 통한 환자의 ‘통증 경험 변화’를 목표로 한다. 인지적 주의분산, 심상법, 긴장이완 훈련, 운동, 심호흡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현재 만성통증 치료에 관한 지배적 모형이다.

인지행동치료의 개략적인 구성

1. 교육 및 목표 설정: 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고 치료에 대한 환자의 기대를 명확하게 한다.

2. 인지적 개입: 자기효능감과 통증에 대한 통제감을 증진시킨다.

3. 통증 유발자극에 반응하는 새로운 기술들을 가르치고 운동과 활동 수준을 증진시킨다.

교육 및 목표 설정 – 인지행동치료의 첫 단계

통증에 대한 교육 인지행동치료로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의 차이, 통증의 기능과 체계 등 설명 • 우울, 불안, 활동 부족, 기타 요소들이 통증에 미치는 영향과 자신의 통증 경험 기록은 일기 쓰기이다. 환자에게 자신의 통증 경험 사례를 기술해 보도록 권유한다. 통증 관련 일기 쓰기는 통증 빈도, 지속시간과 강도, 약물 복용, 기분 및 활동 수준 등 •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통찰을 얻어서 통제감이 증진됨 구체적 목표 세우는 것이다. 구체적이면서 측정 가능한 목표 수립한다. ‘통증’ 이라는 단어를 자꾸 사용하는 경향을 줄이도록 한다.

Summary

통증에 대한 심리치료의 효과가 검증됨에 따라 물리치료와 심리 치료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인지적, 물리적, 정서적 개입들을 결합하여 환자 스스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이다.

인지행동치료는 특히 만성통증 환자의 치료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을 검증한 수많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의 인지  (0) 2023.02.03
왜 뇌에 주목하는가?  (0) 2023.01.21
멘탈헬스시대와 뇌  (0) 2023.01.21
두뇌가 원하는 공부법 2  (0) 2023.01.20
두뇌가 원하는 공부법 1  (0) 2023.0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