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뇌에 주목하는가?
본문 바로가기

왜 뇌에 주목하는가?

by 브레이니 소온 2023. 1. 21.
반응형

1. 왜 두뇌에 관심 집중하는가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수수께끼 가 많은 부분이며, 우주를 능가하는 광대한 새로운 개척지이다. 뇌과학은 현대 과학에서도 아주 특별한 연구분야의 하나로 21세기는 “뇌의 세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감정과 마음은 모두 뇌의 작용이다.

약 천억개의 신경세포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중추신경계를 관장하는 사령탑이다.

1) 생명활동적 측면에서

생명활동에서부터 생명활동에서부터 사고, 기억, 의지, 창조 등의 고도의 정신 활동까지 인간의 총체적인 기능을 관할하는 기관이다. 우리는 뇌에 대한 새로운 지식들을 통해 희미하게나마 우리를 포함한 인간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이 금세기 최고의 진보이며 인류 역사상 가장 의미 있는 일임을 깨닫기 시작했다. - Leslie A. Hart, 『Human Brain and Human Learning

2) 과학적, 활용적 측면에서

21세기는 뇌의 시대는 선진국들의 뇌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를 뇌의 십년(Decade of Brain) 선언했다. MIT, 하버드, 각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 선언했다.

일본은 21세기 뇌의 시대(Century of Brain)선언했다. 20년 계획발표(1997년~2016년)했다.

이스라엘은 뇌연구 주도(와이즈만연구소, 각 대학) 했다.

유럽공동체는 뇌의 시대선포했고, 뇌연구소설립 및 지원을 하였다.

우리나라 뇌관련 연구 뇌교육촉진 1단계(1996년-2007년)이고 총 투자액 : 3,180억원이다. 뇌연구관련 SCIE논문 : 세계23위(65건)이다. 뇌교육촉진 2단계(2008년-2017년)이고 총 투자액 : 1조3천억원이다. 뇌관련연구 SCIE논문 : 세계14위(363)에 이르렀다. 

3) 삶의 질 측면에서

뇌연구촉진시행계획(2007년, 과기부) 뇌는 인간 고등 정신세계를 관장하는 사령탑으로, 뇌연구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직면한 우리사회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하나의 해법이다.

‘지금 뇌를 사용하는 것에서 새로운 현실적 안목과 더 휼륭한 방법이 없이는 인간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복잡한 체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있어서 점점 더 큰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기억혁명 학습혁명, 김시룡 역, p15)

2. 뇌 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할 10가지 이유

1) 사람들은 누구나 뇌를 가지고 있다.

2) 많은 사람들이 보다 쉽게 뇌연구결과를 접하게 되었다.

3) 현재 뇌연구 새롭게 부흥하고 있다. 지금이 인류 역사살 뇌 연구에 가장 흥미를 보이는 시대이다.

4) 뇌 연구는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새로운 사실을 배울 수 있고, 훨씬 더 영리해질 수 있으며, 보다 좋은 기억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뇌 연구는 뇌 손상을 피하거나 손상이 되었을 경우 보다 빨리 회복 하도록 할 수 있다.

5) 뇌의 무게는 체중의 2%에 불과하지만 신체 에너지의 20%를 사용한다. 그 에너지가 모두 어디로 가는지 알고 있는가? 6) 뇌 연구는 교실에서 좌절을 겪고 다시 가르쳐야 하기 보다는 옳게 행함으로써 훨씬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어 일을 보다 쉽게 만들어 줄 수 있다.

7) 뇌 연구를 통해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집중하여 일하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지어는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학습을 촉진시키는 방법 등 매우 유용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8) 우리는 매일 수 천개의 뇌세포를 잃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세포를 증식(신경 발생[neurogenesis]이라 불린다)시키고 있다. 뇌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매일 뇌세포망이 형성될 수 있도록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9) 뇌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지식은 매우 실용적이다. 뇌 연구는 학생별로 학습 발달이 다른 이유와 그에 대한 처방을 알려 준다. 뇌 연구는 학습 지체, 난독증, 실서증, 자폐증, 계산불능증의 비밀을 밝혀 주기도 한다.

10) 우리는 모두가 언제가는 죽는다. 점차 나이가 들수록 치매(dementia), 알츠하이머(Alzheimer's), 파킨슨(Parkinson's disease)와 같은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더욱더 높아진다. 뇌 연구는 그러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정종진 역, 뇌기반교육의 원리(,p34)

Summary

21세기는 뇌의 세기라고 할 수 있다. 

각 선진국들은 뇌에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고 있다.

뇌 연구에 집중하는 이유를 크게 생물학적 측면, 과학적 측면, 삶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출처 및 자료제공: 한국뇌과학연구원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의 인지  (0) 2023.02.03
인지 훈련과 행동치료  (0) 2023.02.02
멘탈헬스시대와 뇌  (0) 2023.01.21
두뇌가 원하는 공부법 2  (0) 2023.01.20
두뇌가 원하는 공부법 1  (0) 2023.0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