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기억자
언어적 설명을 통해 정보를 수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유인물, 칠판, 시각적 자료를 첨가하거나 동영상, 파워포인트,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면 효과적으로 기억한다. 책상 앞에 잘 앉아 있기는 하지만 토론식 수업이나 분위기가 학원처럼 너무 시끄러운 곳에서 공부하는 것은 잘 맞지 않는 경향이 있다. 우뇌 우세형 아이들은 시각적 학습자가 많다.
청각적 기억자
훌륭한 강의와 토론을 좋아한다. 정렬된 책상과 조용한 교실을 선호하고, 한 번에 한 가지 일에만 몰두하기를 좋아한다. 너무나 많은 시각적, 청각적 소음에 주의가 산만해지기 쉬워진다. 많은 과제를 한꺼번에 주면 못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 두 과제를 주면 꼼꼼하게 잘한다. 좌뇌 우세형 아이 중에 청각적 학습자가 많다.
운동 감각적 기억자
몸을 아주 많이 사용한다. 대화 시 손을 쓰는 경향이 있으며, 축하할 때도 말보다 악수로써 표시를 한다. 노트 필기 등을 매우 열심히 하며 학습 시 몸을 계속 움직인다. 산만한 면이 있으나 그만큼 창조적이고 외향적인 성향이 높게 나타난다. 어떤 내용을 암기할 때 친구들에게 가르쳐 주듯이 연기하면서 기억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수학을 공부할 때도 반복훈련보다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쪽을 더 선호한다. 구구단도 보드게임이나 교구를 활용하여 익힐 수 있게 유도하는 것이 좋다. 우뇌 우세형 아이들은 운동감각적 학습자가 많다.
학습을 위한 기억력 향상법
20분 정도 집중한 뒤 짧은 휴식을 하여 뇌가 정리할 시간 주기이다. 20분씩의 간격은 자극의 변화가 있어 노르에피네프린이 나와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좋아지게 된다. 관심 있는 과목부터 시작해서 관심 없는 과목으로 옮겨가고, 다시 관심 있는 과목으로 바꾸면서 공부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같은 과목도 내용의 이해, 문제 풀이, 요약하기 순으로 공부 패턴에 변화를 주면 큰 도움이 된다. 장시간 공부를 할 때는 자세를 바꾸거나 동작에 변화를 주면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다.
기억력의 보약은 잠이다.
2007년 미국 소아과학회에서 수면이 아이들의 건강과 성장, 기분과 학습기억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임에도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나라 역시 ‘잠’을 천대시하고 잠을 잘 자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잠을 줄여서 공부하고 일하는 것을 칭찬한다. 아이들의 수면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는 어른들에 비해서 매우 심각하다. 성장 지연과 면역력 저하로 인한 감염 위험 및 사고 위험 증가하고 있다. 짜증이나 불안 등의 정서 변화, 주의력 및 기억력 감퇴로 인한 학습능력 저하현상이 일어난다. 유년기나 청소년기에 충분히 잠을 자두지 않으면 뇌회로가 손상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 연구팀의 생쥐 실험 뇌에서는 정보를 전달하고 신경회로를 구성하는 시냅스가 손상한다.
수면 중 뇌의 활동
시냅스는 밀도가 떨어졌다가 깨어나면서 다시 활발하게 활동한다. 불필요한 시냅스가 제거되기도 하고 필요한 시냅스가 형성된다. 낮 동안의 자극을 정리하고 필요한 기억을 저장하며, 불필요한 감정과 생각, 기억 등을 정리하는 아주 적극적인 활동의 시간이다. 뇌가 깨어났을 때의 활동에 대비해 불필요한 기억들을 없애고 필요한 회로를 준비하면서 휴식을 취한다. 충분한 수면은 기억력과 이해력을 높여준다. 수면 부족이 심할 경우 정신분열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온 가족이 올바른 수면습관을 기르기 위해 합심해야 한다.
수면 중 뇌가 활동하는 이유
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억하고 장기기억으로 넘기기에 뇌의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따로 시간을 내서 버려야 할 정보와 기억해야 할 정보를 구분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장기기억으로 저장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신체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뇌의 활동을 그대로 유지해 신체가 휴식을 취하고 뇌는 활동적으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넘기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다.
수면 상태에 따른 기억
몸이 움직이지 않을 뿐이지 잘 때 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뇌는 포도당만을 에너지로 시용 가장 많이 쓰는 때가 바로 잠을 잘 때이다. 비렘수면 렘수면일때 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빠르게 움직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뇌는 기억을 강화한다. 영어단어의 기억은 깊은 잠인 비렘수면의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감정이 실린 기억은 얕은 렘수면의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음성기억은 수면의 모든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수면이 부족하면
지능에 영향을 주고 인지기능이 떨어져 기억력과 집중력, 계산력이 모두 감소한다. 많은 양을 공부해도 잠이 부족하면 처리할 시간이 모자라는 것이다. 낮 동안에 많은 것을 배웠다면 그날 밤은 더 많이 자야 한다. 수행능력이 떨어진다. 잠이 부족한 아이들은 공부와 같은 수행능력이 필요한 작업은 피하려고 하고, 단순하고 재미있는 게임에 의존하게 된 혈액에서 포도당을 뽑아내는 능력이 떨어져 전전두엽의 기능이 떨어진다. 수면은 아이의 뇌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절대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출처 및 자료제공: 한국뇌과학연구원
'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교육의 원리 1 (0) | 2023.01.19 |
---|---|
뇌의 변화능력, 뇌 가소성, 신경가소성을 알아보자 (0) | 2023.01.19 |
BOS 1법칙과 뇌가소성 연관성 (0) | 2023.01.19 |
뇌의 기억에 영향을 주는 생체리듬, 정서, 수면 (0) | 2023.01.19 |
뇌를 알아가기 위해 기억, 그리고 그 작용 (0) | 2023.01.18 |
댓글